티치온

단골TV 스킵네비게이션

오답노트

9건의 내역이 있습니다.
중요도 지정
다중이용업법
1.
안전시설 등이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맞게 설치 또는 유지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이 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닌 것은?
해설
정답
해설
G 틀림,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은 안전시설등이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맞게 설치 또는 유지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다중이용업주에게 안전시설등의 보완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하거나 허가관청에 관계 법령에 따른 영업정지 처분 또는 허가등의 취소를 요청할 수 있다. (개정 16.1.27. 시행 16.7.28) 안전시설 등에 대해 직접적으로 강제 설치할 수 없다.
내가 선택한답
정답 vs 내가 선택한 답(객관식)
0%
0%
0% 정답
0%
해설
정답
해설
B 틀림, 합판 또는 목재로 실내장식물을 설치하는 경우로서 그 면적이 영업장 천장과 벽을 합한 면적의 10분의 3(스프링클러설비 또는 간이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에는 10분의 5) 이하인 부분은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것으로 설치할 수 있다.(법 제10조 제2항)
내가 선택한답
정답 vs 내가 선택한 답(객관식)
0%
0% 정답
0%
0%
중요도 지정
다중이용업법
3.
화재 등 재난이나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의 발생 시 이용객들이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이용업주의 의무사항은?
해설
정답
해설
G 맞음, 다중이용업주의 피난안내도 등의 비치
① 다중이용업주는 화재 등 재난이나 그 밖의 위급한 상황의 발생 시 이용객들이 안전하게 피난할 수 있도록 피난계단ㆍ피난통로, 피난설비 등이 표시되어 있는 피난안내도를 갖추어 두거나 피난안내에 관한 영상물을 상영하여야 한다.(법 제12조①)
② 제1항에 따라 피난안내도를 갖추어 두거나 피난안내에 관한 영상물을 상영하여야 하는 대상, 피난안내도를 갖추어 두어야 하는 위치, 피난안내에 관한 영상물의 상영시간, 피난안내도 및 피난안내에 관한 영상물에 포함되어야 할 내용과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은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한다.<개정2014.11.19.>(법 제12조②)
내가 선택한답
정답 vs 내가 선택한 답(객관식)
0%
0%
100% 정답
0%
해설
정답
해설
A, B 맞음, 피난안내도의 크기는 B4(257㎜×364㎜) 이상의 크기로 하여야 한다. 각 층별 영업장의 면적 등이 400㎡ 이상인 경우에는 A3(297㎜×420㎜) 이상의 크기로 하여야 한다.
M 틀림, 피난안내도를 비치하거나 피난안내에 관한 영상물을 상영하여야 하는 다중이용업주는 법 제13조 제1항에 따라 안전시설 등을 점검할 때에 피난안내도 및 피난안내에 관한 영상물을 포함하여 점검하여야한다.(규칙 제12조②) 피난안내도 등을 포함하여 점검하는 것은 선택사항이 아닌 의무사항이므로 점검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점검하여야 한다.
내가 선택한답
정답 vs 내가 선택한 답(객관식)
0%
23.53%
5.88%
70.59% 정답
중요도 지정
다중이용업법
5.
다중이용업소에 대한 안전시설 등을 점검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안전시설 등 세부점검표의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3년 전북 소방장】
해설
정답
해설
M 틀림, 안전시설 등을 점검하는 경우에는 안전시설 등 세부점검표를 사용하여 점검한다.(규칙 제13조)
① 소화기 또는 자동확산소화기의 외관점검
②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작동기능점검
③ 경보설비 작동기능점검
④ 피난설비 작동기능점검 및 외관점검
⑤ 비상구 관리상태 확인
⑥ 영업장 내부 피난통로 관리상태 확인
⑦ 창문(고시원) 관리상태 확인
⑧ 영상음향차단장치 작동기능점검
⑨ 누전차단기 작동 여부 확인
⑩ 피난안내도 설치 위치 확인
⑪ 피난안내영상물 상영 여부 확인
⑫ 실내장식물ㆍ내부구획 재료 교체 여부 확인
⑬ 방염 소파ㆍ의자 사용 여부 확인
⑭ 안전시설 등 세부점검표 분기별 작성 및 1년간 보관여부
⑮ 화재배상책임보험 가입여부 및 계약기간 확인
내가 선택한답
정답 vs 내가 선택한 답(객관식)
0%
0%
0%
0% 정답
해설
정답
해설
A 맞음, 안전점검의 대상은 다중이용업소의 영업장에 설치된 영 제9조의 안전시설 등이다.
B 맞음, 안전점검자의 자격은 다음과 같다.
① 해당 영업장의 다중이용업주 또는 다중이용업소가 위치한 특정소방대상물의 소방안전 관리자(소방안전관리자가 선임된 경우에 한한다)
② 해당 업소의 종업원 중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라 소방안전관리자 자격을 취득한 자, 「국가기술자격법」에 따라 소방기술사ㆍ소방설비기사 또는 소방설비산업기사 자격을 취득한 자
③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소방시설관리업자 G 틀림, 점검주기는 매 분기별 1회 이상 점검한다. 다만,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25조 제1항에 따라 자체점검을 실시한 경우에는 자체점검을 실시한 그 분기에는 점검을 실시하지 아니할 수 있다.
M 맞음, 점검방법은 안전시설 등의 작동 및 유지․관리 상태를 점검한다.
내가 선택한답
정답 vs 내가 선택한 답(객관식)
0%
0%
100% 정답
0%
중요도 지정
다중이용업법
7.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이 다중이용업주에게 필요한 조치를 명하거나 허가관청에 관계 법령에 따른 영업정지 처분 등을 요청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
해설
정답
해설
A 맞음,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은 안전시설등이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맞게 설치 또는 유지되어 있지 아니한 경우에는 그 다중이용업주에게 안전시설등의 보완 등 필요한 조치를 명하거나 허가관청에 관계 법령에 따른 영업정지 처분 또는 허가등의 취소를 요청할 수 있다.(법 제9조②)
B 맞음,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은 다중이용업소의 실내장식물이 실내장식물의 기준에 맞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 다중이용업주에게 해당 부분의 실내장식물을 교체하거나 제거하게 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명하거나 허가관청에 관계 법령에 따른 영업정지 처분 또는 허가등의 취소를 요청할 수 있다(법 제10조③)
G 맞음,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은 다중이용업소의 실내장식물이 실내장식물의 기준에 맞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그 다중이용업주에게 해당 부분의 실내장식물을 교체하거나 제거하게 하는 등 필요한 조치를 하도록 명하거나 허가관청에 관계 법령에 따른 영업정지 처분 또는 허가등의 취소를 요청할 수 있다.(법 제10조의2③)
M 틀림, 소방본부장 또는 소방서장은 다중이용업주가 화재배상책임보험에 가입하지 아니하였을 때에는 허가관청에 다중이용업주에 대한 인가ㆍ허가의 취소, 영업의 정지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법 제13조의3⑤)
내가 선택한답
정답 vs 내가 선택한 답(객관식)
0%
0%
0%
100% 정답
중요도 지정
다중이용업법
8.
다중이용업소의 안전시설 설치신고시 첨부서류가 아닌 것은? 【16년 강원 소방장】
해설
정답
해설
M 틀림, 다중이용업을 하려는 자가 안전시설 설치신고를 하는 경우 안전시설 등 설치신고서에 첨부해야하는 서류는 설계도서, 설치명세서, 평면도의 3가지이다.
① 설계도서 : 소방시설설계업자가 작성한 안전시설 등의 설계도서(소방시설의 계통도, 실내장식물의 재료 및 설치면적, 비상구 등이 표시된 것을 말한다) 1부. 완공신고의 경우에는 설치신고시 제출한 설계도서와 달라진 경우에만 제출한다.
② 설치명세서 : 안전시설 등 설치명세서 1부.
③ 평면도 : 구획된 실의 세부용도 등이 표시된 영업장의 평면도 1부
내가 선택한답
정답 vs 내가 선택한 답(객관식)
0%
0%
0%
100% 정답
중요도 지정
다중이용업법
9.
다중이용업소에 대한 안전시설 세부점검표의 점검사항이 아닌 것은? 【17년 인천 소방장】
해설
정답
해설
B 틀림, 누전차단기는 작동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설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은 피난안내도이다. 안전시설 등을 점검하는 경우에는 안전시설 등 세부점검표를 사용하여 점검한다.(규칙 제13조, 별지 제10호 서식 개정 18.3.21.)
①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작동기능점검
② 경보설비 작동기능점검
③ 영상음향차단장치 작동기능점검
④ 소화기 또는 자동확산소화기의 외관점검
⑤ 피난설비 작동기능점검 및 외관점검
⑥ 비상구 관리상태 확인
⑦ 영업장 내부 피난통로 관리상태 확인
⑧ 창문(고시원) 관리상태 확인
⑨ 피난안내도 설치 위치 확인
⑩ 누전차단기 작동 여부 확인
⑪ 피난안내영상물 상영 여부 확인
⑫ 실내장식물ㆍ내부구획 재료 교체 여부 확인
⑬ 방염 소파ㆍ의자 사용 여부 확인
⑭ 안전시설 등 세부점검표 분기별 작성 및 1년간 보관여부
⑮ 화재배상책임보험 가입여부 및 계약기간 확인
내가 선택한답
정답 vs 내가 선택한 답(객관식)
0%
0% 정답
0%
0%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