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치온

단골TV 스킵네비게이션

오답노트

20건의 내역이 있습니다.
해설
정답
해설

헌법 제21조 제2항이 언론·출판에 대한 검열금지를 규정한 것은 비록 헌법 제37조 제2항이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국가안전보장·질서유지 또는 공공복리를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법률로써 제한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고 할지라도 언론·출판의 자유에 대하여는 검열을 수단으로 한 제한만은 법률로써도 허용되지 아니 한다는 것을 밝힌 것이다(헌재 1996. 10. 4. 93헌가13).

내가 선택한답
정답 vs 내가 선택한 답(객관식)
50% 내가 선택한 답
50%
0%
0% 정답
중요도 지정
기타
2.

합헌적 법률해석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정답
해설

헌법의 기본원리는 헌법의 이념적 기초인 동시에 헌법을 지배하는 지도원리로서 입법이나 정책결정의 방향을 제시하며 공무원을 비롯한 모든 국민·국가기관이 헌법을 존중하고 수호하도록 하는 지침이 되며, 구체적 기본권을 도출하는 근거로 될 수는 없으나 기본권의 해석 및 기본권제한입법의 합헌성 심사에 있어 해석기준의 하나로서 작용한다. 그러므로 이 사건 심판대상조항의 위헌 여부를 심사함에 있어서도 우리 헌법의 기본원리를 그 기준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헌재 1996. 4. 25. 92헌바47).

내가 선택한답
정답 vs 내가 선택한 답(객관식)
0% 정답
0%
0%
0%
해설
정답
해설

자치구의회의원은 대통령, 국회의원과는 그 지위나 성격, 기능, 활동범위, 정치적 역할 등에서 본질적으로 다르다. 자치구의회의원의 활동범위는 해당 자치구의 지역 사무에 국한되고, 그에 수반하여 정치자금을 필요로 하는 정도나 소요자금의 양에서도 현격한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자치구의회의원의 경우 선거비용 이외에 정치자금의 필요성이 크지 않으며 선거비용 측면에서도 대통령선거나 국회의원선거에 비하여 선거운동 기간이 비교적 단기여서 상대적으로 선거비용이 적게 드는 점 등에 비추어 보면, 국회의원선거의 예비후보자와 달리 자치구의회의원선거의 예비후보자에게 후원회를 통한 정치자금의 조달을 불허하는 것에는 합리적인 이유가 있다. 따라서 심판대상조항 중 자치구의회의원선거의 예비후보자에 관한 부분은 평등권을 침해한다고 볼 수 없다(헌재 2019. 12. 27. 2018헌마301).

내가 선택한답
정답 vs 내가 선택한 답(객관식)
0% 정답
0%
0%
0%
중요도 지정
기타
6.

헌법상 경제질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해설
정답
해설

헌법재판소는 농지 소유자로 하여금 원칙적으로 농지의 위탁경영을 할 수 없도록 한 농지법 제9조가 헌법에 위반되지 않는다는 결정을 선고하였다(헌재 2020. 5. 27. 2018헌마362).

내가 선택한답
정답 vs 내가 선택한 답(객관식)
0%
0%
0% 정답
0%
중요도 지정
기타
7.

소급입법금지원칙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해설
정답
해설

과거의 사실관계 또는 법률관계를 규율하기 위한 소급입법의 태양에는 이미 과거에 완성된 사실·법률관계를 규율의 대상으로 하는 이른바 진정소급효의 입법과 이미 과거에 시작하였으나 아직 완성되지 아니하고 진행과정에 있는 사실·법률관계를 규율의 대상으로 하는 이른바 부진정소급효의 입법이 있다. 헌법 제13조 제2항이 금하고 있는 소급입법은 전자, 즉 진정소급효를 가지는 법률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에 반하여 후자, 즉 부진정소급효의 입법은 원칙적으로 허용되는 것이다(헌재 1999. 4. 29. 94헌바37).

내가 선택한답
정답 vs 내가 선택한 답(객관식)
0%
0%
0%
0% 정답
해설
정답
해설

적법절차원칙에서 도출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절차적 요청 중의 하나로, 당사자에게 적절한 고지를 행할 것, 당사자에게 의견 및 자료제출의 기회를 부여할 것을 들 수 있겠으나, 이 원칙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절차를 어느 정도로 요구하는지는 일률적으로 말하기 어렵고, 규율되는 사항의 성질, 관련 당사자의 사익, 절차의 이행으로 제고될 가치, 국가작용의 효율성, 절차에 소요되는 비용, 불복의 기회 등 다양한 요소들을 형량하여 개별적으로 판단할 수밖에 없다(헌재 2013. 7. 25. 2011헌바274).

내가 선택한답
정답 vs 내가 선택한 답(객관식)
0%
0%
66.67% 정답
33.33%
해설
정답
해설

청원권, 재판청구권, 형사보상청구권은 외국인에게도 인정된다. 그러나 국가배상청구권,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은 상호주의원칙에 따라 상호의 보증이 있는 때에 한하여 외국인이 그 주체가 될 수 있다

내가 선택한답
정답 vs 내가 선택한 답(객관식)
0%
0%
0%
0% 정답
해설
정답
해설

결혼식 등의 당사자가 자신을 축하하러 온 하객들에게 주류와 음식물을 접대하는 행위는 인류의 오래된 보편적인 사회생활의 한 모습으로서 개인의 일반적인 행동의 자유 영역에 속하는 행위이므로 이는 헌법 제37조 제1항에 의하여 경시되지 아니하는 기본권이며 헌법 제10조가 정하고 있는 행복추구권에 포함되는 일반적 행동자유권으로서 보호되어야 할 기본권이다(헌재 1998. 10. 15. 98헌마168).

내가 선택한답
정답 vs 내가 선택한 답(객관식)
0%
0%
0%
0% 정답